Revelation 3:21 (W. Martin.)

Revelation 3:21-22

And to the angel of the church of the Laodiceans write; These things said the Amen, the faithful and true witness…


[King James Version]

Message to the Church in Laodicea

(Colossians 2:1-5)

21To him that overcometh will I grant to sit with me in my throne, even as I also overcame, and am set down with my Father in his throne. 22He that hath an ear, let him hear what the Spirit saith unto the churches.

[CEV]

The Letter to Laodicea

21Everyone who wins the victory will sit with me on my throne, just as I won the victory and sat with my Father on his throne.

22If you have ears, listen to what the Spirit says to the churches.

[NET]

To the Church in Laodicea

21I will grant the one who conquers permission to sit with me on my throne, just as I too conquered and sat down with my Father on his throne. 22The one who has an ear had better hear what the Spirit says to the churches.’”

[Korean]

21이기는 그에게는 내가 내 보좌에 함께 앉게 하여 주기를 내가 이기고 아버지 보좌에 함께 앉은 것과 같이 하리라 22귀 있는 자는 성령이 교회들에게 하시는 말씀을 들을지어다



* [GoTo-> 1:1/2:1/3:1/4:1/5:1/6:1/7:1/8:1/9:1/10:1/11:1/

12:1/13:1/14:1/15:1/16:1/17:1/18:1/19:1/20:1/21:1/22:1]

* [Before<---  ---> After]

*[click -> Music: 예술랑_Revelation

--------------------------------------------------------------------------------------  

"이기는 자에게." 이 말은 자주 우리에게 경고하는 것으로 받아 들여질 수 있는 있습니다. 그것은 고상하거나 거룩한 목적에 도전하지 않고, 일상적인 생활에 안주하려는 것입니다. 투쟁에 참여할 가치가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의 말에, 잠시도 귀를 기울이지 마십시오. "이기는 자에게." 사람들은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왔습니다.

초기 기독교 교회 역사에서 가장 선호했던 방법은 실제로 세상으로부터 물러나, 동굴이나 수도원에서 고독을 찾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매우 잘못된 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여가의 대부분을 종교 모임에 참석하고 성경을 읽는 데 보내며, 이 세상에서 인간의 주된 목적은 이러한 방법으로 다음 세상을 준비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세상을 극복하려는 이런 두 가지 시도는 모두 오해에 근거한 것입니다. 

본문은 내(예수님)가 이긴 것처럼, 우리도 세상을 이겨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러면 우리 구세주께서 어떤 방법으로 세상을 이기셨습니까? 종교적 금욕주의자의 방식을 따르지 않습니다. 그분의 삶은, 주로 평범한 직업을 가진, 평범한 남자들과 여자들 사이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예수님의 삶이 은둔자나 수도사의 삶이었다면, 결코 세리와 죄인들의 친구로 불리지 않았을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그분이 종교 모임에, 정오와 저녁에, 끊임없이 참석했거나, 이 세상의 돈 버는 성공에 대한 열망과 다음 세상을 위한 영혼 구원에 대한 열망 사이를 오가면서 그분의 인생을 나누었다면, 그분은 결코 죽임을 당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아니요, 그분은 세상, 곧 종교적 이기주의와 세상적 이기심이 공존하는 세상을 극복하기 위해, 간절히 원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것은 그분이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기 위해, 평범한 삶을 추구하는 가운데, 자신을 헌신하고 계셨기 때문이었습니다. 물론 성경 읽기, 공예배 참석, 기도,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과의 교제 등의 수단이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이런 특성을 올바르게 사용한다면, 우리가 싸워야 하는 전투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런 것들은 단지 수단일 뿐이라는 사실을 망각함으로써, 인간은 위선자들이 되고, 종교의 형식이 모든 것을 초월한 전부가 됩니다.

그리스도께서 말씀하신 “세상”과, 하나님 나라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깨달을 때, 우리는 우리의 의무가 무엇인지에 대해 더욱 깨달은 시각을 갖게 될 것이며, 승리를 얻기 위해 더욱 열심히 노력하게 될 것입니다. 이기적인 사회에서 살도록 강요받는 조건으로 인해, 얼마나 많은 남성과 여성이 "세상", 즉 모든 형태의 죄를 이기지 못하고 있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남자들과 여자들이 아침부터 밤까지 수고하고, 통풍이 잘 안되는 집에서 자고, 다시 똑같은 고역을 겪게 된다면, 어떻게 그리스도와 같은 삶을 실현할 수 있겠습니까?

오늘날 더 나은 상황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 즉 우리 가운데 수고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더 나은 집과 더 건강한 환경으로 구성된 하나님 나라의 일부를 조금이라도 깨달으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은 "세상" - 악과 술 취함과 거칠은 세상 - 을 극복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영혼의 필요성에 더 엄격하게 주의를 기울이는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많은 일을 하고 있습니다.

본문에는 "이기는 자에게"라는 또 다른 아이디어가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전투입니다. 보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가 그를 내 보좌에 나와 함께 앉게 하리라." 그리스도께서 그토록 완전히 이기셨기 때문에, 즉 하나님 아버지의 뜻에 자신의 의지를 아낌없이 굴복 시켰기 때문에, 우리는 그분의 생애 전체에 걸쳐 왕과 같은 자기 정복의 감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분이 자신 안에서 그 왕국을 다스리지 않으셨다면,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의 왕국을 그토록 많이 이 세상에 가져오실 수 없었을 것이며, 그 왕국이 보편적으로 확립될 때를 그토록 확신을 가지고 예견하실 수도 없었을 입니다.

그분의 생애 내내 마치 그분이 왕좌에 앉아서 다스리는 것처럼 안정감을 주는 왕의 위엄이 있었지만, 그분의 주변은 모두 패배와 재앙을 나타내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이것은 그분과 아버지의 하나됨에서 온 것이 아니라면 어디에서 온 것일까요? 우리는 이와 같이 높고 결코 실패하지 않는 근원으로부터 받지 않고 어디에서 그것을 받기를 바랄 수 있겠습니까?



--------------------------------------------------------------------------------------

"To him that overcometh." There is a tendency very common which these words may be taken to warn us against — that of settling down to the daily round of our lives without appeal to anything high or holy in purpose. Do not listen for a moment to those who tell you that the struggle is not worth engaging in. "To him that overcometh." Men have tried different ways to accomplish this. 

A favourite way in the history of the early Christian Church was to withdraw actually from the world, to seek the solitude of some cave or monastery. Others who would think it very wrong to do this, spend the greater part of their leisure in attending religious meetings and reading their Bibles, and tell you that the chief end of man in this world is by these methods to prepare for the next. Both of these attempts to overcome the world are based on a misconception. The text says to us that we are to overcome the world even as I (JESUS) overcame. 

Now in what way did our Saviour overcome the world? Not after the manner of the religious ascetic. His life was in the main lived among ordinary men and women in the ordinary vocations of life. If the life of Jesus had been that of a hermit or a monk, He would never have been called a friend of publicans and sinners. If, again, He had been a constant attendant at religious meetings, noonday, and evening, or had divided His life between keenness for this world's success in money-making and eagerness for the salvation of His soul for the next, He would never have been put to death. 

No, it was because He was so zealous to overcome the world — the world of religious selfishness and of worldly selfishness alike — it was because He was devoting Himself amid the ordinary pursuits of life to bring about the kingdom of God. It is, of course, not to be forgotten that there are means, such as the reading of the Bible, attendance on public worship, prayer, and fellowship with those who are like. minded, which, if rightly used, will help us for the battle we have to fight. It is by forgetting that these are only means that men become hypocrites, and the form of religion becomes the all in all. 

When we realise what Christ meant by "the world" and what He meant by the kingdom of God, we will take a more enlightened view of what our duty is, and we will strive more eagerly to achieve the victory. Think of how many men and women are hindered from overcoming the world — that is, sin in all its forms — by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are made by a selfish society to live. How can men and women hope to realise the Christlike life if they are forced to toil from morning to night, and then to sleep in badly ventilated houses, only to rise again to the same round of unrelieved drudgery? 

Those who to-day are endeavouring to bring about a better state of affairs, who are trying to realise to some small degree that part of the kingdom of God which consists in better houses and more healthful surroundings for the toilers in our midst are doing quite as much to enable men to overcome the world — the world of vice, of drunkenness, of coarseness — as those who attend to what are considered more strictly the needs of the soul. 

There is another idea in the text: "To him that overcometh." That is the battle. The reward follows: "I will give him to sit down with Me in My throne." It was because Christ had so completely overcome — had so unreservedly rendered up His own will to the will of His Heavenly Father — that we find such a royal, kingly sense of self-conquest pervading His entire life. Jesus Christ could not have brought so much of the kingdom of God into this world, He could not have foreseen with so much confidence a time when it would be universally established, had He not had it reigning within Himself.  

Throughout His life there was an air of kingly majesty that makes Him as secure as if He sat and reigned upon a throne, while all around Him seemed to indicate defeat and disaster. Whence did this come but from His oneness with the Father? Whence can we hope to receive it but from the same high, never-failing source?

(W. Martin.)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Songs 2:3

Songs 7:6

Revelation 2:4 (Thomas Man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