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elation 4:3 (A. G. Brown)
After this I looked, and, behold, a door was opened in heaven…
[King James Version]
The Throne in Heaven
3And he that sat was to look upon like a jasper and a sardine stone: and there was a rainbow round about the throne, in sight like unto an emerald. 4And round about the throne were four and twenty seats: and upon the seats I saw four and twenty elders sitting, clothed in white raiment; and they had on their heads crowns of gold.
[CEV]
Worship in Heaven
3The one who was sitting there sparkled like precious stones of jasper+ and carnelian.+ A rainbow that looked like an emerald+ surrounded the throne.
4Twenty-four other thrones were in a circle around that throne. And on each of these thrones there was an elder dressed in white clothes and wearing a gold crown.
[NET]
The Amazing Scene in Heaven
3And the one seated on it was like jasper and carnelian in appearance, and a rainbow looking like it was made of emerald encircled the throne. 4In a circle around the throne were twenty-four other thrones, and seated on those thrones were twenty-four elders. They were dressed in white clothing and had golden crowns on their heads.
[Korean]
3앉으신 이의 모양이 벽옥과 홍보석 같고 또 무지개가 있어 보좌에 둘렸는데 그 모양이 녹보석 같더라 4또 보좌에 둘려 이십 사 보좌들이 있고 그 보좌들 위에 이십사 장로들이 흰 옷을 입고 머리에 금면류관을 쓰고 앉았더라
12:1/13:1/14:1/15:1/16:1/17:1/18:1/19:1/20:1/21:1/22:1]
* [Before<--- ---> After]
*[click -> Music: 예술랑_Revelation]
--------------------------------------------------------------------------------------
I. 무지개.
1. 무지개가 어떤 점에서 언약의 예표가 되는지 살펴봅시다. 먼저 무지개는 구름과 태양의 자식입니다. 인간이 타락하고, 그 결과로 구름이 모이자마자, 태초부터 빛나던 빛이 빠른 속도로 날아가서, 어둠 속을 뚫고, 그 황금빛 광선으로 위협적인 구름에 입을 맟추었습니다. 그 순간 하늘에 변화가 일어났고, "여자의 후손이 뱀의 머리를 상하게 할 것이다"라는 우리 조상들에게 주신 그 달콤한 약속의 모양으로 빛의 벨트가 구름을 둘러쌌습니다.
2. 자비는 비참함을 만났고, 그 결과는 은혜의 언약이었습니다. 인간의 타락은 하나님 은혜의 광채와 영광스러운 대조를 이루는 어두운 배경을 형성하지만, 언약은 다른 기초 위에 놓여 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목적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그분의 달콤한 약속은 인간을 위한 것이지만, 인간에게 의지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것은 “내가 원한다”와 “너는 그렇게 하리라”라는 언약입니다.
3. 다시 말하지만, 무지개는 화해와 안전의 상징입니다. 노아에게도 그러했습니다. 하나님께서 "내가 무지개를 바라보리라"고 말씀하셨으니, 여러분도 무지개를 바라보십시오. 그분께서 결코 깨지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하신 화해로, 여러분은 그분과 화해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4. 무지개는 하나님의 작품이었습니다. "내가 내 무지개를 구름 속에 두노라." 그러므로 영원한 은혜의 언약은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님의 것입니다.
(1) 그것은 개념에 있어서 그분의 것입니다.
(2) 그것은 공급에 있어서 그분의 것입니다. 그 놀라운 계획을 계획하신 바로 그 분이 그 일을 성취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해 주셨습니다.
(3) 그것은 실행에 있어서 역시 그분의 것입니다. 확신시키는 능력 - 끌어당기는 은혜 - 받아들이는 믿음 - 그에 따르는 평화 - 보장되는 안전, 이 모든 것들이 모두 하나님의 것입니다.
5. 이 무지개는 결코 흩어지지 않습니다.
II. 그것의 위치. 왕좌를 중심으로 둥글게.
1. 무지개가 보좌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는 사실은 그분의 모든 인격체(삼위 일체) 안에 계시는 하나님이 은혜의 언약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가르치지 않습니까? 그렇다는 것이 바로 복된 진리입니다. 이 언약은 삼위 일체 전체를 포괄합니다. 삼위 일체 3 분 중 어느 한 분도 빠지지 않습니다. 무지개(=삼위 일체)는 보좌 전체를 둘러싸고 있습니다. 성부, 성자, 성신(=무지개)은 모두 은혜로 인간을 구원하는 데 있어서 영광스러운 역할을 담당합니다.
2. 보좌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항상 보좌를 볼 수 있습니다. 내가 경건한 마음으로 말씀드리지만, 보좌에 앉으신 그분께서 무지개를 보지 않으실 수 없었습니다. 무지개는 사방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그 에메랄드 빛깔이 항상 시선을 끌었기 때문입니다. 요한은 무지개를 통해서 벽옥 보석과 같은 그분을 보았고, 그분은 동일한 신성한 매체를 통해서 요한을 보셨습니다. 하나님은 자신의 백성들을 자신과 언약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십니다.
3. 무지개가 보좌를 둘러싸고 있음으로 무지개를 통하지 않고는 하나님께 나아갈 수 없습니다. 죄인이여, 구원받기를 원합니까? 그렇다면 당신은 반드시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을 받아야 합니다.
--------------------------------------------------------------------------------------
I. THE RAINBOW.
1. Let us see in what respects the rainbow serves as an illustration of the covenant, and first — the rainbow is the child of the cloud and the sun. No sooner did man fall, and consequently the cloud gather, than the light which had been shining from before all time flew apace, and darting through the gloom, kissed with its golden rays the threatening cloud. In a moment there was a heavenly transformation, a belt of light encircled the cloud in the shape of that sweet promise given to our parents, "The seed of the woman shall bruise the serpent's head."
2. Mercy met misery, and the result was the covenant of grace. Man's depravity forms the dark background that throws up in glorious contrast the brightness of God's grace, but the covenant rests on other foundations. It is founded on the purposes of God, and although his sweet engagements are for man, they rest not on man; it is a covenant of "I will" and "thou shalt."
3. Again, the rainbow is an emblem of reconciliation and security. It was so to Noah. God has said, "I will look upon the bow"; well, then, do you look upon it too, for in that you are reconciled to Him with a reconciliation that He has declared shall never be broken.
4. The rainbow was God's handiwork. "I do set My bow in the cloud." So with the everlasting covenant of grace, from first to last it is God's.
(1) It is His in conception.
(2) It is His in provision. All that was necessary for its accomplishment has been provided by the same One who sketched the marvellous plan.
(3) It is His also in execution. The power that convinces — the grace that draws — the faith that accepts — the peace that follows — the security that abides, are all, all of God.
5. This rainbow never melts.
II. ITS POSITION. Round about the throne.
1. May not the fact of the rainbow being all round the throne teach that God in all His persons is included in the covenant of grace? It is a blessed truth that it is so. The covenant embraces the whole Trinity — not one of the Persons is omitted. The bow encircles the whole throne. Father, Son, and Holy Ghost all have their glorious part in the salvation of man by grace.
2. Being round the throne, it was always in view. I speak with reverence, but it was impossible for Him who sat upon the throne not to behold the rainbow — it was around Him on every side; its emerald hue would be ever attracting attention. John only saw Him who was like jasper through the bow, and He only looked upon John through the same hallowed medium. God only looks upon His people as they are in covenant relationship with himself.
3. As the rainbow was all round the throne, it follows that there is no coming unto God but through it. Sinner, wouldst thou be saved? Then thou must be saved by grace.
(A. G. Brown.)
댓글
댓글 쓰기